top of page
디자인 픽스

아스테카,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 /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2022년 5월 3일-8월 28일 / 2022년 4월 28일-8월 28일

@국립중앙박물관


이번 DESIGNFIX Culture Day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 중인 ‘아스테카,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과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을 관람하였습니다. 무더운 7월에도 평일 오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관람을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었으니 전시의 인기가 실감이 났습니다.



아스테카,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


흔히들 아즈텍 문명이라는 단어는 한 번쯤은 들어봤을 테지만, 아스테카라는 단어는 좀 생소할 수도 있습니다. 아스테카는 영어 아즈텍을 스페인어로 읽은 것으로 '아스틀란(하얀 땅이라는 뜻) 출신'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아스테카에 대한 사람들의 공통된 인식은 잔인한 정복자, 그리고 인신공양과 인육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스페인 정복자들이 아메리카 대륙 침략을 정당화하고, 아스테카 사람들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심기 위해 퍼뜨린 생각이라고 합니다.

물론 아스테카인들이 제물로서 인신공양을 행하였지만 메소아메리카에서는 수천년동안 내려온 전통이며, 아즈텍 뿐만 아니라 주변 국가들도 비슷한 전통이 있었다고 합니다.


신비로운 분위기가 가득한 전시장에 들어서자마자 아스테카 달력이라고도 알려진 ‘태양의 돌’을 3D스캔으로 재현한 커다란 미디어 아트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이것은 생소한 아스테카의 신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디지털아트로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으실 수 있으므로 영상을 끝까지 관람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스테카 신화를 보면 그들은 세상이 총 다섯 번의 탄생과 네 번의 파괴를 거듭했다고 믿었습니다.

각 세상에는 새로운 태양이 떠올랐고 창조와 멸망을 거듭했으며, 다섯 번째 태양이 탄생시키기 위해 많은 신들의 희생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아스테카 사람들은 다섯 번째 세상, 즉 ‘움직임의 태양’ 세상을 살았으며, 많은 신들의 희생으로 태양과 세상이 탄생하고 올바르게 작동한다고 여겼기에 신들의 희생에 보답하고 세상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신성한 제의와 성스러운 제물을 바쳤다고 합니다.


이 전시의 타이틀처럼 '태양을 움직인 사람들'의 위대한 작품들을 감상하실 수 있고, 이러한 작품들을 더 살려주는 멋진 그래픽아트도 함께 몸소 체험할 수 있는 전시였습니다.





어느 수집가의 초대 – 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1주년 기념전


전시의 현장예매권을 구매하기 위해 많은 분들이 이른 시간부터 줄 서서 기다릴 정도로 인기 있는 전시로서 굉장한 수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전시였습니다.


1실

(‘저의 집을 소개합니다’ - 인간, 함께 하는 즐거움 / 자연, 함께 누리는 즐거움 / 물건, 수집하는 즐거움)

2실

(’저의 수집품을 소개합니다 ‘ - 자연과 교감하는 경험 / 자연을 활용하는 지혜 / 생각을 전달하는 지혜 / 인간을 탐색하는 경험)


1실에서는 가족과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들을 많이 볼 수 있었으며, 수집가가 가족과 사랑에 대하여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대다수의 작품은 한국 작품들로, 학생들의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한국인이라면 알고 있을 법한 이중섭 작가의 작품도 관람할 수 있었습니다.



작가 불명의 어린 시절 조부모의 집이나 옛 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나 영화에서 흔히 보던 그런 장롱이나 한의원에서 봤을 법한 약장, 다구 등의 친근한 수집품들도 전시되어있어, 관람객들이 옛 추억을 떠올리며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정선의 ’인왕재색도’는 5월 한 달 동안만 전시되어 영상으로만 만나볼 수 있어서 아쉬웠지만, 클로드 모네의 잔잔하고 우아한 색채의 ‘수련이 있는 연못’을 만나볼 수 있어 작품을 감상하는동안 잠시나마 힐링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수 있었습니다.



2실에서는 이중섭 작가의 ‘황소’와 박노수 작가의 ‘산정도’, 이응노 작가의 ‘군상’ 등 인지도 높은 현대 미술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불교 미술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었으며, 그 수집품의 양과 질에 압도될 정도였습니다.



이러한 수집가의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고자 한 의지에 의해 우리의 문화유산을 모두가 함께 누릴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 전시였다고 생각됩니다.



“비록 문화유산을 모으고 보존하는 일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갈지라도,

이는 인류 문화유산의 미래를 위한 것으로, 우리 모두의 시대적 의무라고 생각합니다.”


- 어느 수집가 -


Comments


bottom of page